


《텐초의 파이토치 딥러닝 특강》이 온당 2회차 모집 : 이미지, 텍스트 생성, 번역, 색칠하기 등

[골든래빗] 창립 2주년 기념 나눔 이벤트

[데이터 분석가의 숫자유감] 3화 모수와 표본 : 모수가 이렇게 충분한데 그냥 쓰면 안 될까?
숫자의 큰 역할 중 하나는 정량적인 비교다. 우리는 숫자의 변화를 통해 시간의 흐름을 알고, 통장의 숫자가 0에서 갑자기 확 늘어나면 월급이 들어왔는지를 알 수 있다. 회사도 마찬가지다. 숫자의 변화로 회원 수 증가를 알고, 수익이 늘어난 정도를 확인한다.
Read More
[데이터 분석가의 숫자유감] 2화 숫자의 불확실성 : 큰 수를 더 크다고 말하지 못하고
숫자의 큰 역할 중 하나는 정량적인 비교다. 우리는 숫자의 변화를 통해 시간의 흐름을 알고, 통장의 숫자가 0에서 갑자기 확 늘어나면 월급이 들어왔는지를 알 수 있다. 회사도 마찬가지다. 숫자의 변화로 회원 수 증가를 알고, 수익이 늘어난 정도를 확인한다.
Read More
[데이터 분석가의 숫자유감] 1화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 광고 덕분에 DAU가 늘었다?
사람들은 무분별한 정보 사이에서 패턴을 찾고, 거기에 의미를 부여하는 데 능하다. 이는 사는 데 있어서 굉장히 유용하지만, 많은 경우 비정보성 데이터에도 큰 의미를 부여하여 오히려 혼란을 일으키기도 한다.
Read More
[데이터홀릭 Ep 135] 분노한 데이터 분석가가 친절하게 만화책을 쓴다면?
만화로 배우는 업무 데이터 분석 상식 만화책《데이터 분석가의 숫자유감》의 저자 권정민 님이 팟캐스트 ‘데이터 홀릭’에 출연했습니다. 데이터 분석가가 겪게 되는 일상의 이야기와 그로 인해 데이터 분석가의 숫자유감을 집필하게 된 이야기를 여러분께 들려드립니다.
Read More
[마감] 출간에 앞서 《나성호의 R 데이터 분석 입문》을 리뷰할 ‘북 스포일러’를 찾습니다
이번 북 스포일러 모집에서는 《나성호의 R 데이터 분석 입문》을 모집합니다. 서평으로 책을 평가해주셔도 되고, 책을 읽으며 내용을 블로그에 요약 정리해주셔도 됩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Read More
데이터 문해력, 데이터로 읽고 쓰기
진짜 데이터’와 ‘가짜 데이터’를 분별해서, 적절한 의제에 적절한 데이터를 근거로 활용하도록 하는 능력이다. 우리는 이를 ‘데이터 문해력’이라고 부른다.
Read More
[마감] 직장인 ‘데이터 문해력’ 능력시험
다양한 직군이 서로 협업하며 다양한 문제를 데이터를 활용해 해결 방법을 찾고, 데이터를 기반의 의사결정을 진행하며 현대의 직장인에게 ‘데이터 문해력’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데이터를 읽고 쓰고 말하는 데이터 문해력, 당신은 그 능력을 얼마나 갖췄나요? 이에 데이터 문해력을 테스트할 수 있는 용어 능력시험을 준비했습니다. 직장인이라면 알아야 할 최소한의 데이터 분석/통계 용어. 당신의 실력을 확인해보세요.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