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글 안내서] ❶ 왜 캐글을 해야 할까?

“데이터 과학자를 위한 놀이터.”라고도 불리는 캐글. 캐글은 익히 알려져있듯 데이터 과학, 머신러닝 경진대회를 주관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입니다. 어떤 이유에서 수많은 데이터 과학자들이 왜 캐글을 추천할까? 캐글이란 무엇이고, 이를 통해 무엇을 얻을 수 있고, 취업에 어떤 도움이 될까요? 왜 캐글을 시작해야 하는지 그 이유를 소개합니다.

Read More

머신러닝·딥러닝 문제해결의 키(key) – 탐색적 데이터 분석과 주요 데이터 시각화

머신러닝·딥러닝 문제해결의 시작은 무엇일까요? 바로 데이터의 이해입니다. 데이터를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모델링 전략이 달라지고 예측 성능에 결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탐색적 데이터 분석’ 과정에서 수행하는 데이터 시각화는 데이터 속에 감춰진 특성을 드러내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입니다. 이 글에서는 여러 시각화 기법을 알아보고 각각의 특성과 구현 방법을 알아봅니다.

Read More

[데이터 분석가의 숫자유감] 3화 모수와 표본 : 모수가 이렇게 충분한데 그냥 쓰면 안 될까?

숫자의 큰 역할 중 하나는 정량적인 비교다. 우리는 숫자의 변화를 통해 시간의 흐름을 알고, 통장의 숫자가 0에서 갑자기 확 늘어나면 월급이 들어왔는지를 알 수 있다. 회사도 마찬가지다. 숫자의 변화로 회원 수 증가를 알고, 수익이 늘어난 정도를 확인한다.

Read More

면접을 앞둔 개발자 지망생에게

취업이라는 바늘구멍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서류전형, 코딩 테스트, 인터뷰 등의 수많은 관문을 거쳐야 한다. 오래도록 준비했더라도 내가 가는 길이 맞는지 올바르게 준비하고 있는지 마음속에서 불안감을 떨쳐내기 어렵다. 개발자가 되는 문 앞에서 선 개발자 지망생, 당신을 위해 <개발자로 살아남기>의 한 이야기를 준비했다. 채용하는 입장에서 지망생의 어떤 점을 중점적으로 보는지, 그에 맞춰 지망생은 무엇을 준비하면 좋을지 작은 실마리가 되어 줄 것이다.

Read More

[데이터 분석가의 숫자유감] 2화 숫자의 불확실성 : 큰 수를 더 크다고 말하지 못하고

숫자의 큰 역할 중 하나는 정량적인 비교다. 우리는 숫자의 변화를 통해 시간의 흐름을 알고, 통장의 숫자가 0에서 갑자기 확 늘어나면 월급이 들어왔는지를 알 수 있다. 회사도 마찬가지다. 숫자의 변화로 회원 수 증가를 알고, 수익이 늘어난 정도를 확인한다.

Read More

생각하는 Go 언어 프로그래밍 : Go 제네릭의 이해

제네릭 프로그래밍은 Go 1.18 버전부터 새롭게 추가된 기능으로 타입 파라미터를 통해서 하나의 함수나 타입이 여러 타입에 대해서 동작하도록 해주는 프로그래밍 기법입니다. 자바나 C++, C#과 같은 다른 언어에서 이미 제공되던 기능으로 많은 프로그래머들이 Go에서도 이 기능이 지원되길 기다렸습니다.

Read More

블리자드의 개발팀은 ‘좋은 개발자’를 어떻게 채용할까?

“모든 기업은 SW 기업이다.” 2015년 화두가 된 이 말이 현실이 되며 인재 채용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많아졌다. 개발자 채용이 고민인 당신을 위해 블리자드의 한 개발팀의 채용 이야기를 들려드리겠다. 블리자드는 어떻게 인재를 구분하고 채용하는지, 인재가 오고 싶은 회사를 어떻게 만들었는지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Read More
©2020 GoldenRabbit. All rights reserved.
상호명 : 골든래빗 주식회사
(04051)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 186, 5층 512호, 514호 (동교동, LC타워)
TEL : 0505-398-0505 / FAX : 0505-537-0505
대표이사 : 최현우
사업자등록번호 : 475-87-01581
통신판매업신고 : 2023-서울마포-2391호
master@goldenrabbit.co.kr
개인정보처리방침
배송/반품/환불/교환 안내